Hi, I’m Kang Byeong-hyeon.

..

[우선] 2차 MVP 배포 및 마케팅 전략 세우기




2차 MVP 검토 및 배포 진행

2차 MVP 검토

한 팀원 분께서 갤럭시 플립을 사용하시는 분이 계셨다.

필자는 기존에 아이폰 SE1을 기반으로 반응형을 고려하고 있었는데, 그보다 화면 폭이 좁은 기종이 있다는 것을 인지하지 못했다.

이로 인해 일부 멘토 프로필 리스트와 서비스 플로우 영역에서 찌그러지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KakaoTalk_Photo_2024-08-07-11-59-36 002.png KakaoTalk_Photo_2024-08-07-11-59-35 001.png


위 문제를 파악하고 반응형 부분에서 갤럭시 폴더와 플립을 기준으로 반응형 작업을 다시 진행하였다.

배포 완료

반응형 이슈를 마무리하고 최종적으로 배포를 진행하게 되었다.

배포 링크는 다음과 같다.

2차 MVP 배포링크




퍼포먼스 마케팅 진행 여부

AARRR 단계별 핵심 지표

Untitled


마케팅을 진행하기에 앞서 우리 서비스를 다시 한번 점검해볼 필요가 있었다.

AARRR 핵심 지표를 기반으로 현재 우리 서비스에서 가장 부족한 부분이 무엇이고 어디에 집중해야 하는지 살펴보았다.

우리는 첫 단추인 Acquisition 즉, 신규 고객이 생기게끔 하는 것에 집중해야 한다는 것을 파악하게 되었다.

때문에 첫 단추를 잘 메꾸기 위해서는 에브리타임과 같이 대학생만을 대상으로 하는 마케팅이 아닌, 더 많은 타겟을 대상으로 마케팅을 진행하여 신규 고객 유입에 집중해야 했다.




마케팅 진행

인스타그램 퍼포먼스 마케팅

더 많은 타겟을 대상을 마케팅 하기 위해서는 인스타그램 퍼포먼스 마텡을 진행하는 것이 좋겠다는 의견이 나왔다.

인스타그램 퍼포먼스 마케팅을 위한 썸네일 제작

이전에 A/B 테스트를 통해 퍼포먼스 마케팅을 진행해보았기 때문에 이번에도 동일하게 썸네일을 제작하고 퍼포먼스 스펙을 결정해야 했다.

우리는 가설 2인 “본인의 스펙을 기반으로 한 멘티 자동 매칭”을 기반으로 한 서비스이기 때문에 팀원들과 함께 어떻게 하면 사용자들이 해당 서비스에 이목을 끌 수 있을지 썸네일 문구에 대해서 고민해보았다.

우리 서비스의 최종 목표인 “알아서” 멘토링을 매칭 시키는 것을 강조하여 “스펙만 입력하면 알아서 멘토 찾아드림”이라는 문구로 결정하게 되었다.

기획팀에서 해당 문구를 바탕으로 썸네일 제작을 완료하였다.


스크린샷, 2024-08-07 오후 12.01.24.jpeg


퍼포먼스 마케팅 진행

마케팅을 진행하기에 앞서 충남대학교 창업동아리에서 초기 지원해준 30만원을 기준으로 어느 정도의 스펙을 통해 진행해야 하는지 의논해볼 필요가 있었다.

우리는 기간을 넓게 잡아야 긴 기간 동안 고객들로부터 피드백을 받아 서비스의 방향성과 계획을 의논할 수 있기 때문에 30일로 마케팅을 진행하기로 결정하였다.

그리고 최대한 빠르게 많은 고객이 유입되도록 하루 예산을 $8로 설정하였다.

팀원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다음과 같은 마케팅 스펙을 결정하게 되었다.


퍼포먼스 마케팅 스펙

해당 스펙을 기반으로 인스타그램 퍼포먼스 마케팅을 진행하게 되었다.



링크드인 채널 생성

이전에 멘토를 컨택하는 과정에서 우리 서비스가 활용할 수 있는 플랫폼은 제한적이었다.

멘토풀을 넓히기 위해 생각해본 플랫폼은 링크드인이었다.

링크드인은 다양한 회사에 취직 중인 사람들이 모여있는 비즈니스 커뮤니티이기 때문에 멘티의 니즈와 부합하는 관련 회사에 종사하는 분들에게 DM을 보내 멘토링 진행 의사를 개인적으로 물어볼 수 있다.

특히 이 방식은 기존의 각 플랫폼 운영 방침에 대한 제한점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이점이 있다. 따라서 링크드인을 통한 멘토 컨택을 진행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링크드인 채널 생성

스크린샷 2024-08-07 오후 12.02.56.png


개인 계정으로 컨택하는 것은 신뢰성을 떨어뜨릴 수 있다고 판단하여, 공식 링크드인 채널을 생성하고 해당 계정을 통해 멘토에게 컨택하는 방향으로 진행하게 되었다.

단순히 채널만 개설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사람을 팔로우하는 작업도 진행하여 링크드인 공식 채널을 관리하고, 관련 멘토에게 컨택하는 과정에서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관리하게 되었다.




마치면서

이번 2차 MVP를 검토하면서 특정 기종에 대한 반응형 이슈를 해결하며 갤럭시 플립과 같은 예상치 못한 기종의 반응형도 고려할 수 있었다.

앞으로의 반응형 개발에 있어 다양한 기종을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깨달을 수 있었다.

또한, 마케팅 전략을 세우면서 AARRR 핵심 지표를 통해 우리 서비스가 집중해야 할 부분을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인스타그램 퍼포먼스 마케팅과 링크드인 채널을 활용하여 더 많은 사용자와 멘토를 확보할 수 있는 전략을 수립할 수 있었다.

(AARRR 핵심 지표에 대해서는 처음 알게 되었는데, 이러한 것도 있구나!를 느낄 수 있었다.)

해당 기간 동안 신규 고객 유입을 증대시키고, 다양한 고객분들에게 피드백 받아 서비스를 더욱 개선하여 성공적인 서비스로 발전시킬 수 있기를 기대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