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 I’m Kang Byeong-hyeon.
[우선] 우선을 중단하며
우선을 중단하며
우선 프로젝트가 중단되었다.
멘토링 매칭이라는 서비스의 꿈을 안고 시작한 팀원들과 함께한 시간이 벌써 5개월이 흘렀다.
창업을 진행하는 것은 필자에게 큰 용기와 도전이었고, 그만큼 열정적으로, 그리고 열심히 임했다.
5개월이라는 시간이 누구에게는 짧게 느껴질 수 있지만, 필자에게는 꽤나 긴 시간으로 느껴졌다.
그만큼 팀원들뿐만 아니라 필자도 많은 것을 경험하고 배울 수 있는 기회였다. 모두가 관심을 갖고 열정적으로 임했기에, 우리 모두가 짧게 느낀 것은 동일한 감정이었다.
모든 팀원들이 대학생 신분이었다.
각자가 가지고 있는 목표가 있었고,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는 것을 누구보다도 서로 잘 알고 있었다.
때문에 서로를 더욱 배려하고 희생하면서 진행한 프로젝트이다.
아쉽게도 중요한 목표와 일정들이 겹쳐지면서 우선 프로젝트는 잠시 중단하기로 결정하였다.
우선을 하면서
시장은 생각보다 냉정하다.
시장조사만 해봐도 우리가 생각하고 있는 아이디어를 이미 실천하고 있는 서비스들이 너무나도 많고, 포화 상태였다.
우리가 생각하는 아이디어를 바로 개발하는 것은 큰 리스크를 가져올 수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또한, 이러한 서비스들만큼 성공하기 위해서는 아이디어도 물론 중요하지만, 사용자의 니즈를 캐치해서 다른 서비스와의 차별점을 내세우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개발은 단지 서비스를 만들기 위한 도구일 뿐이다.
사용자 니즈에 맞지 않는 서비스를 기획하면 개발을 잘해도 의미가 없다는 것을 깨달았다.
포화된 시장 속에서 좋은 서비스에 대한 MVP를 만들고 사용자의 니즈를 캐치해서 점점 발전시켜 나가는 과정이 너무나도 중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만약에 이러한 과정 없이 우리가 생각하는 아이디어를 개발하는 데에만 집중했다면, 고객들에게 관심 조차 받지도 못했을 것이다.
물론 개발을 잘하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
성공적인 서비스로 도달하기 위한 날갯짓
사용자의 니즈를 캐치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면서 다양한 실험을 해보았다.
타 플랫폼을 조사하면서 가설들을 설정해보고 검증하기 위해 페이크 도어 기법을 통한 A/B 테스트도 진행해보았다.
해당 테스트를 통해 인사이트를 얻고 최종 가설에 대한 검증을 위해 개발을 진행하고, 창업동아리의 지원금을 받아 인스타그램 퍼포먼스 마케팅도 진행해보았다.
이처럼 성공적인 서비스를 만들기 위한 일련의 과정들을 세심하게 다뤄보았다는 게 필자에게는 큰 경험이었다.
마치면서
결과적으로만 보면 아쉬운 결정으로 보이겠지만, 큰 고심 끝에 내린 결론이었고, 이 정도 수준의 서비스까지 이끌 수 있도록 운영한 것에 서로가 매우 만족해했다.
또한 성공적인 서비스를 만들기 위한 일련의 과정들을 통해 너무나도 많은 것을 배웠기에 중단하는 것에 전혀 아쉽지 않았다.
팀원들과 약속하게 되었다.
우선 잠시 중단이다.
우선은 계속이어질 것이다.
